본문 바로가기

Work & Study/Study

네트워크장비의 종류와 역할(허브,리피터,스위치)

반응형

허브(HUB)

 => 멀티포트 리피터 : 여러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한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모든 포트에 뿌려준다

 

리피터(Repeater)

 => 통신가능 최대거리이상일때 중간에 데이터를 받아서 전달해주는 기능 / 한쪽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다른쪽으로 전달한다

      중간에 리피터가 있음으로서 케이블 전송가능 밖의 두개의 호스트간에 통신이 가능해진다

 

허브의 한계 : 한번에 하나의 데이터 전송만 가능한 컬루젼 도메인이다(CSMA/CD기술로 구현되어 있음)

 

스위치(switch)

 => 브리지(Bridge)에 그 기술기반을 두소 콜루젼도메인 현장을 해결(허브가 일차선 도로라면 스위치는 다차선 도로라 생각)

      허브에 비하여 데이터의 처리방법이 우수하며 데이터전송에러등을 복구해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연결된 모든 장비가 하나의 서버와의 통신을 할때는 스위치도 한번에 하나씩만 가능하므로 별차이가 없어진다

 => 컬루젼 도메인을 나누는 기능으로 인한 속도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

 

브리지와 스위치의 역할

 - Learning 학습

    => 출발지의 MAC Address를 브리지나 스위치가 관리하는 테이블에 기록해둔다

 - Flooding 대상을 모를경우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모든포트에 데이터를 뿌린다

    => 테이블에 등록되지 않아 바로 찾을 수 없는 MAC Address일 경우 다른 모든 포트에 뿌린다

 - Forwarding 대상 포트로 데이터를 건네준다

    => 브리지가 목적지의 MAC Address를 보유하고 있으며 목적지가 다른 segment에 존재할때

        (즉 목적지가 브리지를 건넌 다른 포트에 존재할경우) 해당 포트에만 프레임을 뿌린다

 - Filtering 대상이 아닌 포트로의 전송을 막는다

    => 브리지가 목적지의 MAC Address를 알고 있고 출발지와 목적지가 모두 같은 segment안에 있을경우

         브리지가 다른 곳으로의 전송을 막는다(다리를 차단) : 이 기능으로 컬루젼 도메인을 나눌 수 있게된다

 - Aging 나이를 먹는다? (Learning된 값이 일정시간이 지나면 삭제)

반응형